수요일, 11월 19, 2025
HomeAboda연예인을 장부에 자산으로 책정하기 위한 2가지 조건

연예인을 장부에 자산으로 책정하기 위한 2가지 조건


연예인을 장부에 자산으로 책정하기 위한 2가지 조건
연예인을 장부에 자산으로 책정하기 위한 2가지 조건


회계상 장부(book)에 자산으로 잡히려면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미래 경제적 이익의 실현 가능성이 있어야 합니다. 한 마디로 ‘앞으로 돈이 될 것이냐’는 것입니다. 두 번째 조건은, 이 자산이 얼마짜리라고 그 금액을 합리적으로 장부에 적을 수 있어야 합니다. 장부는 숫자의 세계입니다.


엔터회사들에게 연예인들은 굉장히 중요한 자산입니다. 그들이 음반을 내고 공연을 해서 수익을 올립니다. 당연히 첫 번째 조건은 만족합니다.


문제는 두 번째 조건입니다. 연예인은 엔터회사에 굉장히 중요하지만 그 금액을 장부에 얼마로 적을지는 불분명합니다. 객관적으로 추정이 쉽지 않습니다.


이는 비단 연예인뿐 아니라 모든 인적자원에 해당합니다. 가끔 사장님이 “우리 회사는 여러분 같은 인재가 제일 큰 자산”이라는 훈화 말씀을 하시면 가슴 뭉클할 순 있습니다. 하지만 직원들이 얼마짜리인지 금액 딱지를 붙일 수 없기 때문에 회계상으로는 절대 자산이 되지 못합니다. 때문에 하이브 사업보고서 어디에도 BTS는 없습니다. SM엔터 역시 에스파를 장부에선 찾아볼 수 없습니다.

반응형





다만 외부에서 연예인을 영입하거나 기존 소속 연예인과 재계약을 하는 경우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때는 계약금을 주죠. 앞으로 돈을 벌어다 줄 것으로 기대되니깐 영입을 해왔을 겁니다. 자산으로 잡을 수 있는 첫 번째 조건을 충족합니다. 전속계약금이란 객관적인 금액도 존재합니다. 두 번째 조건도 충족합니다.


때문에 엔터사의 사업보고서를 잘 살펴보면 ‘전속계약금’ 항목이 존재합니다. 어떤 연예인을 외부에서 데려오거나 재계약을 하면서 준 계약금을 이 연예인의 객관적 가치로 보고 재무상태표의 자산으로 잡은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보통 전속계약 기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각을 시킵니다.


RELATED ARTICLES
- Advertisment -

Most Popular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