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인스턴스로 개인 서버 시작하기 무료로 VPS 서버를 만들 수 있다면? 오라클 클라우드의 퍼포먼스를 체험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퍼스널 프로젝트를 위해 서버 하나쯤 갖고 싶은 분들 많으시죠? 저도 이번에 마침 블로그 백엔드를 직접 운영해보고 싶어서 VPS를 알아보다가, 우연히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인스턴스를 발견했어요. 다른 서비스랑 비교해봤는데, 이게 생각보다 꽤 괜찮더라구요. 특히 비용 걱정 없이 성능 좋은 인스턴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매력적이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티어로 나만의 서버를 만드는 방법과 SSH로 접속하는 법까지 차근차근 공유해볼게요!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인스턴스로 개인 서버 시작하기

오라클 무료 인스턴스란?
오라클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중에서도 꽤나 후한 무료 티어를 제공하는 서비스예요. ‘Forever Free’라는 이름처럼, 유료로 전환하지 않아도 기본 인스턴스를 계속 무료로 쓸 수 있다는 게 핵심이죠. AWS나 Azure와 비교해도 꽤 괜찮은 사양의 VM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개발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어요.
https://signup.cloud.oracle.com/
무료 계정과 유료 계정의 차이
오라클 클라우드를 가입하면 처음에 $300 크레딧이 들어온 Trial 계정을 받게 되는데요, 이건 30일간 유료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일시적인 상태예요. 이 기간이 지나면 ‘업그레이드’ 버튼만 눌러 유료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실제로 비용이 청구되진 않고
Forever Free 리소스만 사용하는 한 과금은 발생하지 않아요
계정 타입 | 제공 조건 | 주의사항 |
---|---|---|
Trial 계정 | $300 크레딧, 30일간 | 기간 만료 후 종료됨 |
유료 계정 (무료 티어) | 신용카드 등록만으로 전환 | 무료 리소스 초과 시 과금 |
무료 인스턴스 구성 한도 정리
이 부분이 핵심이에요. 아무리 무료라 해도 리소스 제한은 존재하니까요. 잘 구성하면 서버 2~3대를 돌릴 수 있을 만큼 넉넉합니다. 아래는 가장 효율적인 무료 구성 예시예요.
- E2.Micro (x86) 인스턴스 2대 – 각각 부트볼륨 75GB 구성
- A1.Flex (ARM) 인스턴스 1대 – 4 OCPU + 24GB 메모리, 부트볼륨 50GB 기본값
- 총합 약 190 GiB 사용 – 무료 한도(200GiB) 안전하게 관리 가능
오라클 인스턴스 생성하기
먼저 오라클 클라우드 대시보드에 로그인한 후, “인스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운영체제는 우분투 20.04를 추천드려요. 안정적이고 서버 용도로 가장 널리 사용되니까요. VM 타입은 VM.Standard.A1.Flex를 선택하고, 4 OCPU, 24GB 메모리로 구성해보세요.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SSH 키 페어를 생성하게 되는데, 반드시
프라이빗 키와 퍼블릭 키를 미리 저장
해두세요. 이게 없으면 나중에 접속을 못 하니까요. 그리고 부트볼륨은 사용자 정의 OFF로 설정해야 무료입니다.
SSH로 인스턴스 접속하는 방법
SSH 접속은 Termius 같은 GUI 기반 클라이언트를 쓰면 훨씬 편리합니다. 먼저 Keychain 탭에서 Private Key를 업로드하고, Public Key는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 이후 Host 탭으로 이동해 오라클 인스턴스의 퍼블릭 IP를 입력하세요.
단계 | 설정 내용 |
---|---|
1 | Termius에서 Keychain 열기 |
2 | 다운로드한 프라이빗 키 업로드 |
3 | Host 탭에서 퍼블릭 IP 입력 |
4 | Key 설정에서 업로드한 키 선택 |
터미널 작업에 유용한 추가 팁
- tmux 설치: SSH 연결 끊김에도 작업 유지 가능
- screen 사용법 익히기: 복수 세션 분리 작업 가능
- Termius 계정 연동 시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설정 공유 가능
클라우드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입니다. 개발자 유입을 위한 ‘Forever Free’ 제공이 핵심입니다.
아니요. Trial 기간 이후에 직접 ‘업그레이드’ 버튼을 누르기 전까진 유료 전환되지 않습니다.
재접속이 불가능해질 수 있어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새로 만들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백업해 두세요.
네, PuTTY나 Mac/Linux의 기본 터미널에서도 접속 가능합니다. 다만 키 경로와 퍼미션 설정이 필요합니다.
정적 IP가 아닌 이상, 인스턴스를 중지 후 재시작하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고정 IP가 필요하면 ‘Reserved Public IP’ 설정을 하세요.
지금까지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인스턴스를 만들어보고 SSH로 접속하는 방법까지 알아봤는데요, 어떠셨나요? 저처럼 처음 VPS나 클라우드 서버에 도전하는 분들에게 이만한 연습용 환경도 없다고 생각해요. 무료인데도 성능이 좋고, 실수해도 부담이 없는 이 플랫폼을 활용해서 여러분만의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세요! 만약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같이 이야기 나눠봐요
oracle cloud, 오라클 무료 인스턴스, vps 무료 서버, 리눅스 서버 만들기, termius ssh 접속, 우분투 서버 설치, 개인 서버 구축, 오라클 클라우드 계정, 클라우드 무료 티어, a1 flex 인스턴스
2025.03.31 – [분류 전체보기] – Claude 클로드 MCP 완벽 설치 및 활용 가이드 알아 볼게요
애드센스 호스팅 서버에 연결할 수 없음 정책 센터 문제 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