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7 C
Seoul
금요일, 7월 11, 2025

spot_img

노후준비 점검 및 연금상품


노후준비 점검 및 연금상품


새해부터 국민연금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

기금 고갈시기가

2057

년에서

2055

년으로

2

년 더 당겨질 것이라는 계산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 100

세 시대를 맞이하고 있지만 노후의 삶은 기대보단 불안감이 더 짙게 드리운 듯합니다.


국민연금 재정수지 전망
출처: News1 기사 참조


노후대비책이 되어야 할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도는 점차 낮아지고 젊은 세대는 훗날 국민 연금이 고갈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이것만으로는 노후를 대비할 수 없다는 의구심이 생기고 있습니다

.

최근 직장인 중

70%

가 국민연금이 언젠가는 고갈될 것이라고 답변한 설문조사도 있었습니다

.

이에 현재 노후 준비에 대한 현실 점검 및 관련 상품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연금

3

층 체계 구조



우리나라의 연금 체계는

3

층 연금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1

층은 최소한의 기초 생활을 위한 국민연금

(

국가보장

), 2

층은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퇴직연금

(

기업보장

), 3

층은 여유로운 생활을 위한 연금저축

(

개인보장

)

입니다

.



연금 3층 체계
연금 3층 체계



최근에는 여기에 더해

5

층 연금 체계를 얘기하기도 합니다

. 4

층은 서서히 확대되고 있는 주택연금

, 5

층은 여유자금이 있을 경우에 가능한 월 지급식 상품을 말합니다

.

이는

3

층까지는 기본으로 갖춰야 하며

4

층과

5

층은 좀 더 여유로운 노후를 위한 추가적인 단계로 보시면 됩니다

.





2.



노후준비 점검





우리나라 중산층이 희망하는 은퇴 후 노후 생활비는 얼마일까요

?

조사에 따르면 부부 2인기준 평균

273

만원입니다

.






[


중산층 희망 월 노후생활비, 부부 2인기준]

하위 중산층 월 259만원
중위 중산층 월 273만원
상위 중산층 월 307만원


-.


자료

: NH

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2022 중산층 서베이


그렇다면 최소한의 기초 생활을 위한 국민연금으로는 희망 월 노후생활비의 얼마나 커버할 수 있을까요

?

국민연금공단 자료에 따르면 가입기간이

20

년 이상일 경우 한 달에 평균 약 98만원을 수령한다고 합니다

.



국민연금 월 수령액



희망 월 노후생활비의

35%

수준입니다

.

즉 국민연금 수령액만으로는 노후생활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

이러한 이유로 국민연금과 더불어 퇴직연금

,

개인연금

(

펀드

,

보험 등

)

등을 통해 추가적인 노후 준비를 해야 합니다

.

현재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

퇴직연금을 모두 가입한 비율은

21.8%

에 불과하며 심지어 개인연금 가입 비율도

50%

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연금제도 가입현황





3.





대표 연금상품



연금저축펀드



개인연금 시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연금저축보험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습니다

.

그러나

, 2020

년 이후



연금저축펀드



가입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21

년 말 기준

35%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연금저축펀드 계약건수
연금저축계약건수(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연금저축펀드 계좌는 국내외 주식형 및 채권형

,

원자재 펀드 등 원하는 상품을 자유롭게 선택해서 분산투자할 수 있는 절세 상품입니다

.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





4.





대표 연금상품

– 개인 IRP




또한 퇴직연금 중에선 개인형

IRP

가입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



img
퇴직연금 계약건수(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개인 IRP 계좌는 펀드

,

국내상장

ETF

및 리츠 등 실적배당상품 및 예금 등 원리금 지급형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을 다양하게 선택해서 투자할 수 있는 절세 상품으로 주식 등 위험자산은

70%

까지만 편입 가능합니다

.

소득이 있는 직장인

,

공무원

,

자영업자 등이 가입 대상이며

,

소득이 없는 주부나 학생은 가입이 불가합니다

.





5.





연금저축펀드 및 개인 IRP 특징


  • 자유납입 및 정기납입이 모두 가능하여 투자자 상황에 맞게 납입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1월 1일 이후 납입분부터 총급여, 나이와 상관없이 세액공제한도가 900만원(연금저축 6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 ISA 만기계좌가 있을 경우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만기자금을 연금저축계좌나 IRP로 전환할 경우 전환 금액의 10%를 추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최대 공제대상 한도 300만원입니다.
  • 계좌 개설 후 처음 입금한 날로부터 5년 이상 유지하고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시 연금소득세로 5.5~3.3% 저율 과세합니다. 단, 중도해지 또는 일시금 수령시 세액 공제 받은 원금 및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6.5%를 과세합니다.



-.


참조

: NH

투자증권


-.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으며 상기 내용은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닌 단순 정보 제공을 위한 용도입니다

. 투자시

책임은 투자자 개인에게 있으며 투자시 충분한 분석과 신중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