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희망키움통장Ⅰ,Ⅱ’ 등 5개 통장사업 참여자를 2월1일부터 모집한다.
서울시가 ‘일하는’ 저소득 취약계층 대상이 ‘
자립 씨앗자금
‘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희망키움통장Ⅰ,Ⅱ, 내일키움통장, 청년희망키움통장과 청년저축계좌 참여자를 신규 모집한다.
올해 1차 모집기간은 청년희망키움과 희망키움Ⅰ, 내일키움은
2월1일~18일
이며, 청년저축계좌와 희망키움Ⅱ는
2월1일~19일
이다.
■ 만 39세 이하 일하는 청년은 ‘청년희망키움.청년저축계좌’
청년(만15세~39세 이하)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통장은 두 가지 종류로
, 가입기간 동안 근로소득이 있어야 한다. 재직증명서·사업자등록증·사업활동 등 관련 증명서류가 필요하며 소액이라도 최근 3개월 간 근로·사업소득이 있어야 한다.
대학의 근로장학금, 무급근로, 실업급여, 육아휴직수당 등의 사례는 가입이 불가하며, 사치성·향락업체, 도박·사행성 업종도 제외대상이다.
‘청년희망키움’
은 중위소득 30% 이하(4인가구 기준 월 1,462,887원)인 가구의 청년 대상이며 매월 근로·사업소득을 3년간 유지하면 본인 적립 없이, 매월 10만원의 근로소득공제금과 청년 총소득의 45%가 근로소득장려금으로 적립된다. 3년 후 1,560만원~2,3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
청년저축계좌’의
가입자격은 중위소득 50% 이하(4인가구 기준 월 243만 8,145원)인 주거·교육 급여 수급가구 또는 차상위 가구의 청년이다. 매월 10만 원을 적립하면 근로소득장려금 30만 원을 지원받아 3년 후 1,440만 원을 마련(1:3 매칭 지원) 할 수 있다.
■ 저소득층 가구는 ‘희망키움1·2’ 자활근로자는 ‘내일키움’
‘희망키움통장Ⅱ’
의 가입대상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 급여 또는 차상위 가구의 가구원이며, 한부모가정이나 만 18세 미만의 아동,청소년을 부양하는 가구라면 우선적으로 가입할 수 있다.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근로소득장려금 10만 원을 지원받아 3년 후 720만 원을 마련(1:1매칭 지원)할 수 있다.
‘희망키움통장Ⅰ’은 ‘일하는’ 생계·의료 수급가구 중 신청 당시 가구 전체의 소득이 중위소득 4%(최저생계비)의 60% 이상인 가구원(4인 기준 월 117만310원)이 가입할 수 있다.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소득비례 근로소득장려금을 지원받아 3년 후 1,690만 원~2,7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내일키움통장’
은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 참여자가 대상이다.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내일근로장려금 1대1 매칭, 자활사업단의 매출적립금과 수익금을 재원으로 하는 내일키움장려금·내일키움수익금을 지원받아 3년 후 2,230만 원~2,34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본인이 소속된 지역자활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고
월 적립금은
5만 원, 10만 원, 20만 원 중 선택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