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C
Seoul
토요일, 12월 21, 2024

spot_img

미래상품을 사고 파는 ‘선물거래’를 하는 이유는?


상품 거래는 크게 현물(現物)과 선물(先物)로 나눠집니다. 현물거래는 현재 시세로 거래계약을 체결하고 매매하는 것으로, 현재 시점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것을 말합니다.





현물거래는 시세를 보고 가격이 맞으면 그 자리에서 상품과 돈을 맞바꾸면 되기 때문에 사실 큰 이익을 얻기는 힘듭니다. 물론 큰 손해를 볼 위험도 적습니다.


현물거래는

‘실물(實物)거래’ 또는 ‘직물(直物) 거래

‘라고도 합니다.


선물거래는 누구나 받고 싶어하는 선물(gift)이 아니라 미래에 사로 팔 기로 하소 상품을 거래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물을 영어로는 ‘futures’라고 합니다. 선물거래는 미래에 상품과 대금을 교환하기로 약속하는 거래방식입니다.


즉 상품은 나중에 받기로 하고 대금은 그 상품의 현재 시세로 치르는 것이지요.





흔히 선물거래가 희비쌍곡선을 그리는 것도 바로 여기에서 비롯됩니다.


예를 들어 밀가루 1톤을 선물거래로 1만달러에 결제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만약 밀가루를 받기로 한 시점에 심각한 가뭄이 발생해 밀가루 가격이 2배나 폭등했다면 선물거래로 이미 돈을 지급한 사람은 크게 이익을 보지만, 절반 가격으로 판 셈인 공급자는 땅을 치고 울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반대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밀 작황이 좋아 밀가루 공급량이 크게 늘었다고 가정해 볼까요? 밀가루를 건네받을 시점에 밀가루 값이 1톤당 5,000달러로 반토막이 됐다면 밀 공급자는 앉아서 2배의 이익을 얻는 셈입니다.





밀을 산 사람은 시세보다 2배나 비싼 밀을 구입한 셈이고요. 그렇다면 왜 이와 같은 선물거래를 할까요? 처음에는 가뭄으로 인한 흉작에 대비해 밀가루, 옥수수 등 주요 곡물의 안정적인 공급과 가격 변동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농산물 외에 금속, 에너지, 주식, 채권, 양도성 예금증서(CD), 금, 외환 등 금융자산까지 선물거래의 범위가 계속 넓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운영하는 한국거래소(KRX)에서 선물상품을 거래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