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in vs Result from, 한국인만 헷갈리는 이유 완전 정리 “Result in”과 “Result from”은 단순히 단어 하나 차이지만, 뜻은 정반대입니다. 하지만 한국인, 일본인 영어 학습자들은 이 두 표현을 자주 혼동하죠. 이유는 단순한 문법 암기가 아니라, 언어 구조 자체의 사고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제가 영어를 가르칠 때도 이 부분에서 학생들이 고개를 갸웃하며 “둘 다 ‘결과’ 아닌가요?”라고 묻곤 합니다. 😊
Result in vs Result from, 한국인만 헷갈리는 이유 완전 정리
1. 왜 한국인과 일본인만 헷갈릴까? 🤔

영어는 원인과 결과를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언어입니다. 반면 한국어나 일본어는 감정적이거나 맥락 중심의 언어 구조를 가지고 있죠. 즉, 영어는 “A 때문에 B가 일어났다”라고 직선적으로 말하지만, 한국어는 “A의 결과로 B가 생겼다”보다는 “B가 생긴 이유는 A 때문이다”처럼 원인을 ‘뒤집어서’ 설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영어식 표현에서는 “cause → effect”의 흐름이 자연스럽지만, 한국어에서는 감정적 공감이나 결과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표현이 바뀝니다. 그래서 result in과 result from은 영어식 사고로 익혀야 이해가 빠릅니다.
영어의 전치사는 “위치”보다 “관계”를 나타냅니다. in은 결과로 ‘들어가는’ 개념, from은 원인으로 ‘나오는’ 개념을 기억하세요.
2. Result from — 원인에서 비롯되다 📚
Result from은 ‘무엇으로부터 생기다’, 즉 “원인”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His confidence resulted from hard practice. (그의 자신감은 꾸준한 연습에서 비롯되었다) 처럼, 결과(A)가 어떤 원인(B)에서 기인했는지를 나타내죠.
실제로 제가 영어 학습자들에게 “result from은 원인을 찾아가야 한다”고 설명하면, “from이 ‘출발점’을 뜻하니 결과의 시작점을 나타낸다”는 식으로 이해하면 금방 감이 옵니다. 즉, A result from B = A는 B 때문에 생겼다.
3. Result in — 결과로 이어지다 🌱

반면 result in은 ‘결과로 이어지다’를 의미합니다. 즉, 원인이 먼저 나오고 그 뒤에 결과가 이어지는 구조죠. 예를 들어, Economic inflation results in higher interest rates. (경제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상을 초래한다) 처럼 원인(A)이 결과(B)를 만들어내는 구조입니다.
실제로 제가 해외 유학생 시절, 외국인 친구들과 밤새 소주를 마시며 영어로 대화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 영어 실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죠. 그 상황을 영어로 표현하면, “Drinking soju with friends resulted in better English fluency.”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즐거운 대화(원인)가 자연스러운 회화력 향상(결과)을 만든 것입니다.
result from = 원인에서 비롯되다
result in = 결과로 이어지다
방향을 바꿔서 생각하면 혼동이 사라집니다.
4. 영어식 사고로 바꿔보자 💬

한국어식으로는 “~의 결과로”라고 표현하지만, 영어에서는 원인과 결과의 ‘흐름 방향’이 훨씬 명확합니다. 영어는 항상 “무엇이 무엇을 만든다”의 순서를 지키기 때문에, result from / result in의 구분은 논리적 구조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영어식 사고로 바꾸는 훈련은 문법 암기보다 “관계 그림”을 떠올리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From → 시작점, In → 도착점으로 인식해 보세요.
5. 정리 및 연습 팁 🧩
영어는 문법이 아니라 관계 언어입니다. 전치사의 차이를 감각적으로 익히기 위해서는 문장을 외우기보다, 원인 → 결과 흐름을 직접 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Lack of sleep results in poor concentration.” → “집중력 저하는 수면 부족에서 비롯된다(result from).” 이렇게 두 방향으로 바꿔보면 구조가 선명해집니다.
저 역시 이 방식을 통해 전치사 개념을 확실히 잡을 수 있었습니다. 어느 날 학생이 “왜 result in이 ‘결과’냐”고 물었을 때, “결과(in)는 결국 그 상황 안으로 들어가는 거야.” 라고 설명하니 눈빛이 달라졌던 기억이 납니다.
👉 결국, 영어 전치사는 방향과 관계의 언어입니다.
핵심 요약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result from과 come from은 같은 뜻인가요?
→ 비슷하지만 come from은 단순한 ‘출처’를, result from은 ‘원인’을 더 명확히 나타냅니다.
Q2. result in 뒤에는 반드시 명사가 와야 하나요?
→ 네, 일반적으로 명사나 동명사(-ing형)가 옵니다. 예: result in failure / result in winning.
Q3. result from 뒤에 문장형이 올 수 있나요?
→ 보통 명사구가 오지만, that절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His stres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Q4. 원어민은 result in/from을 자주 쓰나요?
→ 일상 대화보다는 뉴스, 학문적 문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Q5. 쉽게 외우는 방법은 없나요?
→ from은 출발점, in은 도착점으로 연상하면 훨씬 쉽습니다.
result in, result from, 영어 전치사, 영어식 사고, 언어 비교, 한국어와 영어 차이, 영어 문법, 영어 공부, 영어 표현, 영어 팁
2025.01.11 – [언어/영어] – Turn out (결국) ~ 로 결과로 되다 영어로
Turn Out vs Pan Out 완벽 정리 – 원어민은 이렇게 쓴다
Turn out (결국) ~ 로 결과로 되다 영어로
Turn out (결국) ~ 로 결과로 되다 영어로 ㅣ “Turn out”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표현으로, 결과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어떤 방식으로 끝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사
miracool65.tistor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