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C
Seoul
일요일, 8월 31, 2025

spot_img

주식초보)‘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자 =͟͟͞͞(๑º ロ º๑)


img

14개월만에 부분 공매도가 재개된 지난 2021년 5월 3일 이후 3개월이 지났지만

개인투자자들의 우려와 달리 코스피와 코스닥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각각 5%, 10% 올랐습니다.



역시… 그럴 줄 알았습니다 ㅋㅋㅋ


img

[● 경제 상식/주식의 기초 공부] – 과거 공매도 재개 사례로 대응법 준비하자╭( •̀ •́ )╮

↑바야흐로 제가 공매도 시작하기 전

미리 공매도와 주가 지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해봤을 때 그닥 큰 연관은 없다는 걸 느꼈었거든요^^;;;

개별종목도 공매도 잔고 상위 종목과 공매도 과열 지정 종목에서 주가가 상승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예전 공매도에 관한 설명 부분에서 누락되었던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mg



◐‘공매도(Short selling)’란?



img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증권사 등에서

빌려 먼저 판 뒤,


실제로 해당 종목의 주가가 떨어지면 싼값에 주식을

다시 사들여 갚는 방식

으로 차익을 내는 투자 기법

입니다.

[● 경제 상식/주식의 기초 공부] – 주식초보를 위한 ‘공매도’ ‘대차거래’ 뜻 ★이 것만 보면 정리 끝난다!


공매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img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이란?




img

2017년 3월부터


비정상적으로 공매도 거래가 급증하고 가격이 급락하는 종목을 선정하고,



다음 1거래일 동안

공매도 거래를 금지하는 제도

공매도 과열현상을 시장에 알려 투자자 주의를 환기시키려는 취지에서 도입되었습니다.


img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기준



img
출처-KRX 한국거래소

KRX 한국거래소에 있는… 과열종목 지정기준….ㅡ.ㅡ;;;


img


대체 뭔 소리예요……..



풀어서 좀 써주지……..

표에 나와있듯이 코스피와 코스닥 지정기준은 살짝쿵 다른데요~

유형별로 하나씩 지정되었던 종목들과 비교해보며 꾸역꾸역 알아보도록 합시다.


우선 코스피의 지정기준은 2가지가 있습니다.



⑴코스피



img
코스피 유형1


첫번째(유형1)

당일 주가가 5~10% 하락하고,

공매도 비중이 직전분기 코스피 구성종목 공매도 비중의 3배 이상이면서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이

6배

위 3가지 요건에 모두 해당된 종목이 지정됩니다.


img
코스피 유형2


두번째(유형2)

당일 주가가 10% 이상 떨어진 종목으로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이

6배

이상이기만 하면 과열종목으로 지정됩니다.



⑵코스닥



코스닥의 지정기준은 3가지가 있습니다.


img
코스닥 유형1


첫번째(유형1)

당일 주가가 5~10% 하락하고,

공매도 비중이 직전분기 코스닥150 구성종목 공매도 비중의 3배 이상이면서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이

5배

위 3가지 요건에 모두 해당된 종목이 지정됩니다.


img
코스닥 유형2


두번째(유형2)

당일 주가가 10% 이상 떨어진 종목으로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이

5배

이상이기만 하면 과열종목으로 지정됩니다.


img
코스닥 유형3


세번째(유형3)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이

5배

이상이면서

직전 40거래일 공매도비중 평균이 5% 이상이면 지정입니다.

다른 유형들과 달리 주가 등락이 일절 상관없기에 가장 지정이 많이 되는 유형이죠!

2021년 8월 6일에 유형3에 해당되어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된 ‘카페24’는

다음주 월요일엔 공매도 거래가 금지되겠군요~


img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보는 방법



위와 같은 공매도 과열 지정 종목은 여러분들도 KRX 한국거래소라는 사이트에서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img

①먼저 포털사이트에 ‘KRX’를 검색하셔서 ‘KRX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img

②홈화면 상단에 있는 ‘정보 데이터 시스템’을 클릭해줍니다.


img

③마우스 커서를 움직여 상단에 있는 메뉴 중 ‘공매도 통계’를 눌러줍니다.


img

④좌측 메뉴에 있는 ‘공매도 과열>공매도 과열종목’을 클릭하면 공매도 과열 종목 리스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img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은 호재인가? 악재인가?




img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은

단기적으로

주가가 내려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악재로 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대외적으로 불안해서 하락장으로 이어질 때 공매도의 거래는 늘게 되는데

이 때 자연스레 과열 종목으로 지정된 상장사가 속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이 주가 하락의 위험성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능 거,,,~

다만 이 제도 자체가 전면적인 공매도 금지 대책이 아닌

이미 공매도가 급증해버린 종목에 대한 조취이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이 아니라는 이유로

공매도에 대한 투자자들의 비판은 여전하죠.


img

이번 포스팅에선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모쪼록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img

주식투자에서 변수라는 건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에

종목을 매수할 때는 철저하게 조사하시길 바랍니다.

나쁜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의 대부분은 무작정 매수 버튼을 누른 나쁜 선택의 결과라는 것! 꼭 명심하십쇼.



다음 글은 이 글 어떠세요😊?

[● 주식 투자/관심 종목 분석] – 언택트 관련주 ‘카카오’ 주가 전망을 위한 재무제표 분석 ( ͡° ͜ʖ ͡°)


img



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

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


◡‿◡



구독 ◡‿◡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


(별도의 로그인없이 가능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