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국내증시의 거센 하락으로
돈을 빌려 주식 거래를 한 개인투자자들의 반대매매가 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여기저기 뉴스에서 반대매매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질 않고 있죠~
특히 지난 2월 15일엔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금액은 272억원으로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비중이 10.7%로 집계가 되었다는데요.
대체 이런 정보는 어디서 볼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네! 그래서 제가 준비했습니다 ^^
그럼 이번 포스팅에서
반대매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 주식 반대매매 뜻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을 산 뒤
그 주식의 가격이 많이 하락하거나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하면
증권사가 강제로 주식을 팔아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증권사는 해당 주식을 무조건 팔아야 하기 때문에
장 개시 전 동시호가에서 가장 낮은 가격인 ‘하한가’로 설정해 던지죠.
그래서 요즘같은 하락장이 이어질 때면
‘동시호가 반대매매 받아먹기’를 하려는 사람이 늘어나게 되는겁니다.

✅ 미수 신용 차이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서 주식을 사는 경우는
크게
1)미수거래
와
2)신용매수
로 나뉩니다.
1)미수거래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을 외상으로 사고,
3거래일 안에 갚는 것.
주식 종목에는 20%, 30%, 80% 등 증거금률이라는 것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우량한 종목일수록 증거금률이 낮습니다.
가령 증거금률이 40%인 주식을 1억원어치 산다고 치면
계좌에 증거금으로 4,000만원만 있으면 나머지 6,000만원은 미수로 빌려 살 수 있는 거죠~
대신 빌린 미수금을 3거래일 안에 변제하지 못하면
증권사는 다음날 아침 동시호가때 반대매매를 해버립니다.
2)신용매수
증권사에
이자
를 내고 돈을 빌리는 것으로
기본 만기일
이 미수보다 장기간인
90일
입니다.
다만 신용매수는 최소담보유지비율이라는 것이 있는데,
보통 140%
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자기 돈 400만원, 신용 600만원을 빌려
총 1,000만원어치의 주식을 샀다고 칩시다.
그런데 신용으로 빌린 돈 600만원의 140%인 840만원 밑으로 주식 가치가 떨어진다?
그럼 증권사에서는 추가 증거금을 즉시 내라는 문자(마진콜)를 보내게 됩니다.
만약 증권사의 마진콜 요구를 무시하고 돈을 안 넣게 되면
그 다음날 반대매매를 피할 수는 없어요.
이런 점에서 증시가 하락할수록 반대매매로 인한 하방 압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겠죠?
따라서 반대매매 물량이 어느 정도 출회된 뒤 매수를 들어가는 편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신용거래에 대한 반대매매 공식적인 통계는 없고,
미수금에서 발생한 반대매매 규모만 금융투자협회에서 집계하고 있으니
같이 데이터를 알아보도록 하죠^^
✅ 반대매매 확인 방법
①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Portal 사이트
에 접속합니다.
②메인 페이지 상단에 있는
주식
을 클릭합니다.
③
주식>증시자금>증시자금추이
에 들어가면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금액
과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비중
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④또 다른 방법으로는
하단에 있는
한눈에 보는 자본시장 통계
에 들어가서
자금동향
에 있는
실제반대매매
를 클릭합니다.
⑤그러면
실제반대매매금액
과
증감율
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1일 기준
돈을 빌린 다음 3거래일째 갚지 못한 금액은 125억원이네요?
신용거래에 대한 반대매매 금액도 알 수 있었으면 참 좋을텐데 이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나중에 알게 된다면 추가 업데이트 하도록 할게요 ^^
ps) 얼마 전에 켄달제너의 비키니 사진 올렸다가…
일주일동안 티스토리 정지 먹는 바람에 글을 못 썼네요.
다음 정책 왜이렇게 까다로운가요……….ㅡ.ㅡ;
다음 글은 이 글 어떠세요😊?
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
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
◡‿◡
구독 ◡‿◡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
(별도의 로그인없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