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 C
Seoul
목요일, 5월 22, 2025

spot_img

건폐율 용적률 뜻 – 부동산 기초 용어

국내 최고 거래가 아파트 명단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한남더힐.




도대체!

왜!

뭐 때문에!

한남더힐은 항상 높은 매매가를 유지할 수 있는 걸까요?

아파트가 높은 가격을 형성하는 데는

교통, 학군, 넉넉한 주차공간, 아파트 브랜드 등 수많은 요소가 복합적으로 적용됩니다.

이 중 상위 1% 한남더힐만의 특별한 요소가 있는데요~

바로



낮은


건폐율과 용적률!

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폐율 뜻과 용적률 뜻에 대해 알아보겠어요 😀






✅ 건폐율(Building Coverage Ratio) 뜻


건폐율이란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




‘전체 대지면적’


에서


‘건축물 1층 바닥면적’


이 차지하는 비율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건폐율 계산

예컨대



‘100㎡ 대지’


에 들어선


‘건축물 바닥면적 합이 50㎡’


라면 건폐율은 50%.

건폐율이 높다는 건

건물이 다닥다닥 붙어있다는 의미여서

녹지나 빈터 등 여유 공간이 줄어듭니다.

이 경우 일조, 채광, 통풍 확보가 어려울뿐더러

화재와 같은 비상시 효율적인 대처가 힘듭니다.

즉, 주거 쾌적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거죠!

이러한 이유로

도시지역의 법적 건폐율을 살펴보면

상업지역은 90% 이하이지만 주거지역은 70% 이하라는 것~~~




땅값 비싼 서울에서

한남더힐의 건폐율은 무려 29%로 다른 아파트와 비교하면 엄청 낮은 수준.

그러니 희소성이 높을 수밖에요.






✅ 용적률(Floor Area Ratio) 뜻


용적률이란




‘전체 대지면적’


에서


‘지하층을 제외한 각 층의 바닥면적 총합’


이 차지하는 비율

입니다.



용적률 계산

예를 들어



‘전체 대지면적이 100㎡’


에 들어선 3층 건물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3층 건물이 각 층마다 50㎡라면


‘바닥면적의 총합은 150㎡’


가 되겠죠?


이에 따라 용적률은 150%.

용적률을 계산할 때

지하층은 제외되고,

오직!



지상

건축물의 면적


만을 따집니다.

여기서 또다시 지상 건축물이라고 하더라도


주차용, 주민 공동시설, 피난 안전 구역



제외


합니다.

앞서 본 3층 건물에서 1층이 모두 주차장이라면?


지상 건축물의 면적



(1층을 제외한)


2층과 3층만 인정

되기 때문에

용적률은 100%가 됩니다

(0+100+100/100)

.

이처럼 용적률은 ‘층수’와 관련이 깊습니다.

쉽게 말해


용적률

이 높을수록 고층, 낮을수록 저층인 거죠.

재개발이나 재건축 사업에서 용적률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이유가 바로 이겁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고층으로 지을 수 있음 → 분양 물량 증가



투자수익 증가

※ 연식 오래된 구축 아파트는 용적률이 250만 넘어가도 사업성이 안 나와 재건축이 힘듦.

단순하게 계산만 해봐도

용적률 200%인 500 가구 아파트에

용적률 400%가 적용되면 1,000 가구로 늘어난다는 거~~~

한남더힐의 경우 용적률이 120%로 일반 아파트의 절반 수준!

하여 가장 높은 층도 일반 아파트의 절반 수준인 12층이지요.



마지막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용적률이 낮을수록~

건폐율이 낮을수륙~

여유로운 주거환경 면에서 좋다.






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

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


◡‿◡




구독 ◡‿◡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


(별도의 로그인없이 가능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