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가 괜찮아 보여 관망하고 있었던 광동제약…
아직 매수를 못 했는데….
올라가 버렸네? 🙄💦 @#~#%!#%!#@%
물론 아직도 더 오를 거라고 생각은 하지만…
 지금 사기엔
 
 
 무. 서. 워 !!!
 
 
내가 왜 광동제약을 보고 있었는지
차트 패턴이나 정리해 봅시다 (o゚v゚)ノ
 
 
중국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전염병 관련주
광동제약
▶ 2024.03.22 기준 시가총액 4,193억 (코스피 326위)
| 주요주주 | 비중 | 
| 최성원 외 14인 | 17.85% | 
| 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COMPANY LLC 외 3인 | 9.96% | 
| 자사주 | 23.54% | 
| 외국인 | 20.17% | 

2015년 이후 하염없이 내리기만 했던 광동제약…( ̄﹏ ̄;)

 
 
 2023년 10월
 
 에 자회사 케이디인베스트먼트의 페프로민바이오 투자 사실이 부각되면서
 
 
 추세 전환을 했습니다.
 
 
 
 그러다
 
 
 2023년 10월 23일
 
 공시불이행으로 불성실공시법인에 지정
 
 이 되었는데요~
 
 
 그래도 주가는 6,700원 밑으로는 안 빠지더라고요 ㅋㅋㅋ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는데도 말이죠.
 
 
그래서 한 번만 바닥 더 다지고, 4번째 바닥에서 매수해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3번째 바닥
 
 
 에서 급상승 나와버림 🙄💦🙄💦🙄💦
 
 
기회를 엿보다가 언젠가 꼭 매수하고 말 거야…………..
 
 
 
 
 0.01MB
 
 
 매출액은 꾸준히 오르고 있는 중~
 
 
 매출 비중은
 
 ⑴ 삼다수(33.8%) > ⑵ 기타 (24%) > ⑶ 비타 500 (11%)
 
 순입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생수시장 점유율 1위는 광동제약의 삼다수
 
 
 2위는 롯데 아이시스, 3위는 농심 백산수.
 
노브랜드보다 3배 정도 비싼 삼다수.
‘물이 맛 차이가 있겠어?’ 하면서 찾아보니
삼다수만 고집하시는 분들은 노브랜드 물이 맛없어서 못 마신다고….
물 먹는 하마인 나로서는 물맛 차이가 느껴진다는 게 신기하네요.
그래서 다음에 삼다수 한 번 음미하면서 마셔보려고 함ㅋㅋ
 
 
 
 
 
 
 
 
 
 2023년 대부분의 제품 가격이 올랐지만…
 
 
 점유율은 점점 떨어지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주가도 같이 하락세였나봐요.
 
 
 0.01MB
 
 ‘2023년 판매비와 관리비’
 
 가 올랐길래 확인해 보니
 
 
⑴ 직원 수 증가로 급여 또한 상승.
 
 
⑵ 연구개발비용이 증가.
 
 2022년에 천연물융합연구개발본부 인원이 59명이었는데,
 
 
 2023년에 65명으로 늘어난 거 보면…
 
 
 뭐 하긴 하나……..?
 
 여하튼 광동제약 응원하고 있겠습니다 (o゜▽゜)o☆
 
 
 
 
 
 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
 
 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
 
 
 ◡‿◡
 
 
 
 구독 ◡‿◡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
 
 
 
 (별도의 로그인 없이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