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8 C
Seoul
금요일, 7월 4, 2025

spot_img

주식 장기대세 ‘엘리어트 파동’ 이론 이해하기


주식 분석 시 그래프로 대세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한마디로 이렇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장기 주가 흐름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끊임없이 순환하며, 각각의 파동 안에 다시 작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엘리어트파동이론의 목적은 주가의 장기 대세 파동을 파악하는 것이며, 피보나치수열에 의한 황금비율(38.2%, 61.8%)로 각 파동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예측한 것이 특징입니다.


img
엘리어트




[※ 피보나치수열이란?




12세기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가 이집트 피라미드를 연구하다 발견한 황금분할 비율의 계수로, 1,2,3,5,8,13,21,34,55,89,144…로 나가는 숫자입니다. 이 숫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로 이어지는 두 숫자를 더하면 그다음 숫자가 됩니다. 즉, 3 + 5 = 8, 5 + 8 = 13 이 됩니다.


즉, 3+5=8, 5+8=13이 됩니다. 둘째는 수열 34부터 앞에 있는 수의 1.618배이고, 두 번째 앞에 있는 수의 2.618배입니다. 1 : 1.618을 황금비율 또는 황금률이라고 하는데 시각적으로 균형 잡힌 감각을 가리키며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파르테논 신전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img
엘리어트 5파동후 3파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의하면 1파, 3파, 5파 파동은 상승 움직임을 보이고, 2파와 4파 파동은 조정 파동의 역할을 하여 하락 움직임을 보인다고 합니다. 그리고 5번까지의 움직임이 끝나면 A, B, C 파동으로 구성되는 하락 추세가 이어지는데 A, B, C 파동은 하락하고 B 파동은 조정 파동으로 상승한다고 합니다.


주가는 끝없이 오르거나 내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추세의 38.2%, 61.8%의 비율만큼 되돌려진다는 것이죠.


1파 상승파동 후 2파 하락파동 시 황금비율 이하로 떨어진다면 파동이 깨진 것으로 봐야 합니다.



1파 상승 후 38.2% 비율로 하락하거나, 61.8% 비율로 추가 하락합니다.



예를 들어 1파 상승이 100이라면 2파 하락폭이 38.2%(100포인트 X 38.2% = 38.2) 하락하거나,



61.8%가 추가로 하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3파 파동은 추세가 힘을 받아 강력하게 움직이는 파동으로서 5파 중에 가장 긴 파동을 주가 상승이 제일 큰 파동입니다. 또한 4번 파동은 1번 파동의 고점 이하로 하락해서는 안 됩니다. 그럴 경우 상승 5파의 틀이 지속될 수 없다고 보면 됩니다.


img




◆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문제점


파동이 완성된 후에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파동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어느 파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렵고, 보는 사람에 따라 파동이 시작하는 시점이 다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상승폭과 하락폭을 계산할 때도 이 이론을 이해하고 참고로 활용하면 좋을 듯싶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