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 C
Seoul
토요일, 8월 30, 2025

spot_img

“교육비 세액공제제도”는 무엇이며. 세액공제 대상 한도액은?



■ 국내 교육비 공제


▶ 교육비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을 근로소득세를 계산(연말정산) 할 때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해 줍니다.


▶ 공제 대상이 되는 교육비는 근로자 본인과 배우자·직계비속·형제자매를 위해 교육기관에 낸 입학금 및 수업료와 기타 공납금, 보육 비용 및 수강료 등과 근로자 본인의 학자금 대출 원리금 상환액입니다.


– 교육기관에는 초·중·고·대학 및 전문대학·방송통신대학·사이버대학뿐만 아니라 학점은행제·독학학위 취득 교육과정 및    직업 훈련과정도 포함되며, 근로자 본인은 대학원도 해당됩니다.



– 방과 후 학교 수강료, 교과서대, 급식비도 공제됩니다(어린이집·유치원생·초·중·고등학생),



– 현장학습비(1인당 30만 원)와 교복 구입비(1인당 50만 원, 중·고등학생)도 공제됩니다.



– 소득세·증여세가 비과세 되는 장학금 등을 받은 경우에는 이를 차감한 금액이 공제됩니다.


※ 학원 수강료는 취학 전 아동의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img



▶ 세액공제 대상 한도액


본 인

직 계 비 속 등

전액



(직장에서 보조받은



비과세 되는



학자금은 제외)

영유아,유치원생,취학전 아동

1인당 300만 원

초,중,고등학생

1인당 300만 원

대학생

1인당 900만 원

장애인 특수교육비

전 액


img



▶ 계산 사례


★ 유치원생 자녀교육비가 250만 원이고 근로자 본인의 교육비 200만 원 중 직장에서 받은 비과세 학자금이 100만 원인 경우의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액 계산


● 자녀의 교육비 공제액 250만 원


● 본인의 교육비 공제액 200만 원 – 100마 원 = 100만 원


● 합계 : 350만 원



■ 국외 교육비 공제


▶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일용근로자 제외)가 다음에 해당하는 자를 위하여 국외교육기관에 낸 입학금·수업료, 기타 공납금 등이 공제됩니다.


● 국외 근로자인 경우



– 본인 및 국외에서 함께 동거하는 부양가족


● 국내 근무자인 경우



– 해당,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거주자가 교육비를 지급한 학생,



단,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생·중학생의 경우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정



※ 국외 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에 따른 자비유학의 자격이 있는 자



※ 국외 유학에 관한 규정 제15조에 따라 유학을 하는 자로서 부양의무자와 국외에서 동거한 기간이 1년 이상인 자


img



▶ 소득세·증여세가 비과세되는 장학금 등을 받은 경우에는 이를 차감한 금액이 공제됩니다.


▶ 세액공제 대상 한도액



● 국내 교육비와 같음


▶ 제출서류



● 입학금, 수업료, 기타 공납금 영수증



● 국외 교육비공제 적용 대상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img




■ 교육비 세액공제 절차


▶ 교육비 세액공제를 받고자 할 때에는 다음의 서류를 갖추어 소득·세액 공제 신고서를 연말정산 시 근무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 교육비 납입영수증



●교육부, 여성가족부 또는 국세청장이 고시하는 기관에서 발급하는 교육비 납입 내역서



●자녀학비 보조수당을 지급받은 경우 그 금액의 범위 안에서 근무처에 이미 제출한 재학 증명서로


갈음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