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홈페이지를 블로그 등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간단한 소개글로서 사람들에게 보여줄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임에는 틀림없습니다
.
사업자에게 중요한 신뢰 관계
,
고객 및 파트너와의 관계를 홈페이지가 아닌
SNS
로 해결하게 되면서 홈페이지에는 소셜 로그인이나 소셜 댓글을 많이 활요하게 되었습니다
.
또 완전히 분리해 판매하던 오피스 계열 소프트웨어가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무료 제공되고 원격 협업시대로 접어들면서 홈페이지와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해 졌습니다
.
이러한 모든 요구 사항을 결합해서 소규모 사업자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는 것이 구글 사이트 도구입니다
.
경쟁중심으로 개별 블로그를 운영하거나 각 점포에서 비용을 들여 제작하는 방식으로는 홈페이지 보유율부터 높이기 힘듭니다
.
구글 사이트 도구를 활용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외부 전문가 필요없이 각 상점의 구성원 또는 가족의 협업만으로 홈페이지를 만들고 운영할수 있습니다
.
시작하는 데는 구글 계정만으로도 충분합니다
.
구글 사이트 도구로 만든 홈페이지를 점검할 때는 모바일 환경을 먼저 고려한 뒤 데스크톱과 태블릿 환경을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
홈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하지 않는 경우에는 페이스북 페이지
,
블로그나 카페
,
밴드 등을 홈페이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활용범위는 제한됩니다
.
도메인은 연 만원 정도로 사용가능하고 단축 주소를 만들거나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에서 발행하는 주소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 구글 사이트 도구로 홈페이지 만들기
▶개설 및 설정
STEP1)
구글 드라이드
(
http://drive.google.com/)
에서
[
새로 만들기
]
를 선택하고
[
더보기
]
에서
[Google
사이트 도구
]
를 선택합니다
.
STEP2)
오른쪽
[
테마
]
에서 적절한 테마를 하나 선택합니다
.
왼쪽 화면에 사이트 제목과 주제를 기입합니다
.
▶공유및 게시
STEP1)
상단 메뉴에서 공유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 [
다른 사용자와 공유
]
대화창에서
[
초대한 사용자
]
입력란에 홈페이지를 함께 만들고 관리할 동료의 구글 계정을 입력한 후
[
보내기
]
를 선택합니다
.
STEP2)
화면 상단 오른쪽의
[
게시
]
를 선택하면
[
웹에 게시
]
대화창이 나타납니다
. [
웹주소
]
입력란에 홈페이지의 고유 아이디를 하나 만들어 기입합니다
.
이 아이디는
”
https://site.google.com/view/
의 뒷부분에 추가되어 홈페이지의 웹주소로 쓰입니다
. ([
맞춤
URL]
의
[
관리
]
에서 별도의 도메인을 추가해 독립된 홈페이지 주소를 쓸 수도 있습니다
).
대화창 하단 오른쪽의
[
게시
]
를 선택합니다
.
▶ 콘텐츠 관리
STEP1)
화면 오른쪽 메뉴의
[
삽입
]
에서는 기본적인 텍스트
,
이미지
,
코드 삽입
,
구글 드라이브에서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또 여러장의 이미지를 넘겨 보는
[
이미지 캐러셀
]
과 목차
,
유튜브 영상
,
캘린더
,
지도
,
설문지 등 다양한 콘테츠 유형을 필요한 대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
STEP2)
화면 우측 메뉴의
[
페이지
]
에서는 홈페이지를 위한 메인 메뉴
,
서브 메뉴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하단의 동그란
[+]
를 선택하면
[
새 페이지
]
대화 창이 나옵니다
. [
이름
]
에 입력한 페이지 이름은 메뉴명으로도 사용됩니다
. [
완료
]
를 선택합니다
.
입력한 메뉴는 왼쪽 창에서 마우스로 끌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