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C
Seoul
화요일, 9월 23, 2025

spot_img

세계유산 구리 동구릉 탐방 / 조선 1대 태조의 능, ‘건원릉’


◆ 세계유산 구리 동구릉 탐방




/




조선




1


대 태조의 능


, ‘


건원릉





안녕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


며칠 전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세계유산 구리 동구릉을 탐방하였는데


,




오늘은 동구릉에 있는 조선




1


대 태조의 능인 건원릉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img




1.



동구릉은?






동구릉은 동쪽에 있는


9


기의 능이라는 뜻


으로


,


조선 왕실 최대규모의 왕릉군


이다


.


즉 동구릉에는


9


개의 능이 있어 조선 왕조


42


개 능의


20


퍼센트가 포함될 정도로 비중이 남다르다


.


동구릉은






구리시 인창동 검암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9


개의 능에




17





(





)


에 달하는 조선의 왕과 왕비 유택이 있는 가족묘다


.









9







17





(





)


의 왕과 왕비가 안장되어 있으며


,




총 면적이




191







5,890


제곱미터나 된다


.


동구릉은 사적 제


193


호로 지정되어 있다


.






1408


년 태조의 왕릉이 자리하고 건원릉이라 이름한 뒤


, 1855





(


철종




6)




익종


(


翼宗


)


의 능인 수릉이




9


번째로 조성되어 동구릉이라 부르게 되었다


.


광대한 숲에는 건원릉을 비롯해 제


5


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인 현릉


,







14


대 선조와 의인왕후


,




계비 인목왕후의 능인 목릉


,







18


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인 숭릉


,







16


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능인 휘릉


,


그리고 제


20


대 경종의 비 단의왕후의 능인 혜릉


,







21


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능인 원릉


,







24


대 헌종과 효현왕후


,




계비 효정왕후의 능인 경릉


,







23


대 순조의 세자인 익종과 신정왕후의 능인 수릉이 자리하고 있다


.


img




2.



건원릉健元陵(조선 태조의 능)









.




능의 개요


건원릉은 조선




1


대 태조의 능


으로 위치는




경기 구리시 동구릉로




197


에 있으며


,




능의 형식은 단릉이고 능은




1408





(


태종




8)


에 조성


되었다


.


img


img





.


능의 구성


건원릉은 조선 왕릉 제도의 표본


이라고 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로는 고려 공민왕의 현릉


(


玄陵


)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




고려 왕릉에는 없던 곡장을 봉분 주위에 두르는 등 세부적으로 석물의 조형과 배치 면에서 일정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


봉분에는 다른 왕릉처럼 잔디가 아닌 억새풀을 덮었


는데


,







인조실록





에 태조의 유교


(


遺敎


)


에 따라 청완


(


靑薍


,




억새


)


을 덮었다는 기록이 있다


.


태조의 건원릉에 잔디가 아닌 억새풀이 덮여있는 까닭은 태조의 특별한 유언 때문이다


.



태조는 조선을 건국하는 위업을 이뤘지만


,




그 후 왕자들이 형제간의 살육을 마다하지 않으며 벌이는 권력 다툼을 겪는 등 무거운 마음의 짐을 안은 채 말년을 보내야 했다


.




승하하기 전 태조는 왕 이전의 한 사람으로서 고향을 그리워하며




고향 땅의 흙과 풀 아래 잠들고 싶은 마음을 유언으로 남긴 것이다


.


능침에는




12


면의 화강암 병풍석이 둘러싸고 있는데


,




병풍석에는 십이지신과 영저


(


금강저


)




및 영탁


(


방울


)




등을 새겼다


.




병풍석 밖으로는




12


칸의 난간석을 둘렀고


,




난간석 밖으로는 석호와 석양이 네 마리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


봉분 앞에는 혼유석이 있는데


,




혼유석 밑에는 도깨비가 새겨진 북 모양의 고석




5


개가 놓여 있고 양 옆으로는 망주석이 한 개씩 서있다


.




중계에는 장명등과 석마 한 필씩이 딸려 있는 문석인이 놓여 있고


,




하계에는 무석인과 석마가 양쪽에 놓여 있으며 가운데에는 정중석이 있다


.


능 아래에는 정자각


(


보물


),




비각


,




수복방


,




수라간


,




홍살문


,




판위 등이 배치되어 있고


,




비각 안에는 태조가 세상을 떠나고 태종대에 세운 신도비


(


보물


)


와 대한제국 선포 후 태조고황제로 추존된 능표석이 세워져 있다


.


img


img


img





.




능의 역사


1408





(


태종




8) 5







24


일에 태조가 세상을 떠나자




6







28


일에 지금의 구리시인 양주 검암산에 능지를 정하였다


. 7


월 말을 기하여 산릉 공사를 시작한 후




9







9


일에 발인하였다


.


산릉공사를 위하여 충청도에서




3,500





,




황해도에서




2,000





,




강원도에서




500


명 등 총




6,000


명의 군정을 징발하였다


.


태조는 생전에 두 번째 왕비 신덕왕후와 함께 묻히기를 원하여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


(


貞陵


)


에 본인의 자리


(


신후지지


)


를 미리 마련해두었으나 태종은 태조의 유언을 따르지 않고


,




태조의 능을 지금의 자리에 조성하였다


.


img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