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보고서, BOFA 컨슈머 리포트

5월 10일 BOFA(Bank of America)에서 정기 간행물인 4월 신용카드 소비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 미국 미국 소비자의 지출과 재정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 같아 공유드립니다.


1.  소비 지출 둔화

4월 가구당 총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지출이 전년대비 -1.2% 감소하여 202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월간  YoY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최근까지 전반적인 지출 증가를 주도했던 서비스 지출이 YoY +0.9%로 둔화되었다는 점입니다.


img
뱅크 오브 아메리카 카드 지출 내역

최근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에어비앤비는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을 했지만, 2분기는 부진할 거라는 가이던스를 내기도 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본 보고서에도 여행 및 항공사에 대한 지출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여 3월보다 4.5% 포인트 감소한 +0.9%에 그치고 있습니다.


img
세부 항목별 카드 지출 내역


2.  고소득자들의 지출 감소 가속화

고소득 가구가 2023년 4월 세후 임금이 3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고소득 가구 지출 감소폭이 중/저소득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는 소득 상위 40%가 전체 지출의 6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의 소비 지출은 전체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img
소득 구간별 임금(좌) 및 지출 현황(우)


3.  소비에 영향을 끼치는 고소득자들의 고용 둔화 신호

앤데믹 이후 일자리 증가와 임금 상승과 같은 노동 시장의 강세는 더 높은 물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지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고소득 가구의 실업수당 수혜자 수는 전년대비 4월에 40% 이상 증가했습니다. 특히, 빅테크와 금융 분야가 밀접해 있는 캘리포니아와 뉴욕, 매사추세츠의 실업이 증가하였습니다. 신규 실업 수당 신청의 1/3이 빅테크와 금융 등 고소득 직종이라는 블룸버그 기사도 있었습니다.


img

최근 WSJ에서는 ‘고연봉 빈곤층이 양산되고 있다’는 특집 기사를 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연봉 구조를 보면 이해가 가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통상적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연봉은 ‘낮은 기본급+ 성과급(스톡옵션)’ 구조입니다. 그러나 주가가 하락하며 실질 연봉은 20% 이상 감소하였고, 주식 담보 대출로 집을 구매를 한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하며 갚아야 할 대출금에 대한 부담 증가 및 주식 담보로 생활비를 사용하며 빈곤층(?)이 된다는 논리였습니다.  즉, IT주식이 오르고 있을 때 주식 보상이 환상적이었다면 지난해부터 그 의미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관점의 기사라 흥미로웠습니다.


4.  초과 저축 여력은 많은 편, 그러나

여전히 2019년 대비 40% 많은 초과 저축이 가계에 쌓여 있습니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올해 3Q~4Q까지 소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현금 잔고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일부 소비력이 잠식되었음을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img

고용 상황 및 실물 경제에 따라 충격 강도는 달라질 수 있겠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질 거 같습니다. 본 보고서를 공유드리오니 필요하시 분은 다운로드하셔서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BOFA 컨슈머 리포트.pdf
0.2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