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C
Seoul
월요일, 2월 3, 2025

spot_img

과태료 체납 시 처벌 규정 및 가산금 및 중과산금 정리



과태료 체납 시: 처벌규정, 가산금, 중과산금


■ 목록

  1. 과태료, 벌금, 범칙금 차이 이해하기
  2. 과태료 이해 및 부과되는 경우
  3. 과태료 체납 시 처벌 규정
  4. 자동차 번호판 영치
  5. 자동차 이전 등록 제한
  6. 차량 및 부동산 압류
  7. 가산금 및 중가산금



블로그 자료 정리 Map










유투브 업데이트 정리 MAP







법률 개정 자료 정리 및 뉴스 자료





자동차, 교통 관련 과태료, 범칙금, 벌금





1. 과태료, 벌금, 범칙금 차이 이해하기

  • 대상: 과태료(자동차), 범칙금(사람)
  • 범칙금과 벌금의 차이: “형 집행” 유무
  • 가격: 범칙금(과태료 + 20%선할인 + 자동차 보험료 할증)
  • if 자동차 보험료가 큰 금액인 경우, 범칙금보다 과태료가 저렴
  • 처벌 순위: 벌금> 범칙금> 과태료



2. 과태료 이해 및 부과되는 경우

  • 형벌의 성질을 가지지 않는 법령 위반 시 → 지자체가 부과 금전적 징계
  • 과태료 부과되는 경우

    – 속도위반

    – 갓길위반

    – 불법 주정차
  • if 운전자를 확실하게 알 수 없을 때, 차량 소유주에게 부과(벌점 부과되지 않음)



3. 과태료 체납 시 처벌 규정

  • 자동차 번호판 영치
  • 이전등록제한
  • 차량 및 부동산 압류



4. 자동차 번호판 영치

  • 관계법령: 질서 위반행위 규제법 제55조
  • 체납자 소유의 차량 번호판을 영치하여 차량의 운행을 제한할 수 있음.
  • 운행이 불가능
  • 다른 사람에게 판매 불가능 → 강제 압류조치 후 공매를 통해 처분



5. 자동차 이전 등록 제한

  • 관계법령: 질서위반 행위규제법제56조
  • 자동차 소유권 이전등록은 체납 과태료를 완납하여야 신청 가능함



6. 차량 및 부동산 압류

  • 전국 조회를 통해 확인된 차량 및 부동산을 압류조치 후 공매 실시
  • 자동차를 처분한 액수로 체납액을 충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동차 이외의 재산도 압류
  • 자동차 이 외 재산: 부동산, 예금, 급여도 예외 없이 해당



7. 가산금 및 중가산금

  • 질서 위반 행위 규제법 제24조 제1항: 3%에 상당하는 ‘가산금’ 부과 + 체납된 과태료 부과
  • 가산금이 부과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과태료를 내지 않을 경우

    – 납부기간이 경과한 날부터 매월 1.2%의 ‘중가산금’ 최대 60개월까지 부과
  • ex) 주차위반 과태료 4만 원을 최대 60개월동안 납부하지 않았을 경우,

    – 과태료: 40,000원

    – 가산금: 40,000원 × 3% = 1,200원

    – 중가산금: 40,000원 × 1.2% = 480원 (if Max 60개월 경과 시 28,800원)
  • Therefore,

    최대 납부 금액

    : 과태료 40,000원 + 가산금 1,200원 + 중가산금 Max 28,800원 =

    70,000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