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lost vs go away 영어표현 꺼져, 사라져, 그리고 빠져들다 상황에 따라 정중하게도, 단호하게도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르는 사람이 말을 걸 때 “Could you please go away?”라고 말하면 거절이지만 무례하지 않습니다.
get lost vs go away 영어표현 꺼져, 사라져, 그리고 빠져들다
1️⃣ go away — 평정심 속의 거리 두기

go away는 기본적으로 “지금 있는 곳에서 멀어져라”라는 물리적 이동을 의미합니다. go(가다) + away(멀리)이 결합되어, ‘저쪽으로 가라’ 또는 ‘떠나라’는 단순한 요청의 형태죠.
- Go away before I lose my temper. (나 화나기 전에 가버려.)
- Just go away! I don’t want to talk to you anymore. (그냥 꺼져! 더 이상 너랑 말하고 싶지 않아.)
- Go away. You have no business here. (여긴 네가 있을 곳이 아니야.)
상황에 따라 정중하게도, 단호하게도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르는 사람이 말을 걸 때 “Could you please go away?”라고 말하면 거절이지만 무례하지 않습니다.
2️⃣ get lost — 분노 속의 단절 선언

get lost는 같은 ‘꺼져’라도 훨씬 공격적이고 감정적인 표현입니다. 이 말은 단순히 “저리 가”가 아니라 “내 앞에서 사라져”의 의미에 가깝습니다.
- Ugh, you’re so annoying. Just get lost! (아, 정말 짜증 나. 꺼져버려!)
- Get lost, will you? (꺼져줄래?)
- Get lost before I make you regret it. (후회하기 전에 사라져.)
get lost의 원래 의미는 “길을 잃다”입니다. 하지만 ‘길을 잃다 → 방향을 잃다 → 세상에서 사라지다’로 의미가 확장되며, “영영 내 앞에서 사라져라”라는 강한 단절의 메시지가 생겼습니다.
즉, go away가 일상적이고 통제된 거절이라면, get lost는 감정의 제동이 풀린 폭발에 가깝습니다. 화가 나서 목소리가 높아지는 장면에서 쓰이죠.
3️⃣ get lost의 원래 뜻 — ‘길을 잃다’

이제 공격적인 뜻이 생기기 전의 get lost로 돌아가볼까요? 본래 이 표현은 단순히 ‘길을 잃다’입니다. 과거에는 길을 잃는 것이 곧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get lost!”는 “죽어버려!”처럼 강한 부정의 감정으로 전이된 것입니다.
- Explorers often get lost in the mountains. (탐험가들은 종종 산에서 길을 잃는다.)
- She got lost on her way to the museum. (그녀는 박물관 가는 길에 길을 잃었다.)
이처럼 get lost는 상황에 따라 단순한 길 잃음 → 존재의 소멸 → 감정의 폭발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집니다.
4️⃣ get lost in — 몰입하다, 빠져들다
흥미롭게도, get lost는 전치사 in을 만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됩니다. ‘길을 잃다’가 아니라 ‘무언가에 깊이 빠져들다’로 바뀌죠.
- get lost in the music → 음악에 몰입하다
- get lost in a book → 책에 빠져들다
- get lost in the crowd → 군중 속에 묻히다
이 표현은 단순한 집중이 아니라, 자기 존재를 잊을 만큼 완전히 빠지는 상태를 묘사합니다. “길을 잃었다”가 아니라 “현실을 잃었다”로 보는 거죠.
- Her figure was an irresistible invitation to get lost in paradise itself.
(그녀의 몸매는 천국에 빠져들게 하는 저항할 수 없는 초대였다.) - It’s easy to get lost in thought on a quiet evening.
(조용한 저녁이면 생각에 잠기기 쉽다.)
5️⃣ get lost in translation — 번역에서 사라지다
마지막으로 유명한 표현 get lost in translation을 살펴봅시다. 이는 직역하면 “번역 중에 잃어버리다”이지만, 실제 의미는 “원래의 뜻이 번역 과정에서 사라지다”입니다.
- It’s fairly common for some meanings to get lost in translation.
(어떤 의미들은 번역 과정에서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 The emotion of the original poem got lost in translation.
(원시의 감정이 번역에서 사라졌다.)
영화 Lost in Translation은 바로 이 표현에서 제목을 따왔습니다. 언어뿐 아니라, 관계 속에서 서로의 감정이 “전달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인간의 고독을 상징하죠.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FAQ)
Q1. go away를 정중하게 쓸 수 있나요?
👉 네. “Could you go away for a moment?”처럼 말하면 공격적이지 않습니다.
Q2. get lost를 농담처럼 쓸 수 있나요?
👉 친한 친구끼리는 장난으로 쓸 수 있지만, 낯선 사람에게는 무례하게 들립니다.
Q3. get lost in과 be absorbed in의 차이는?
👉 의미는 비슷하지만, get lost in은 감정적이고 자연스러운 몰입을 강조합니다.
Q4. get lost는 언제부터 비속어가 되었나요?
👉 20세기 초 영국 구어에서 ‘길을 잃어버려라’라는 말이 ‘꺼져라’로 비꼬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Q5. get lost in translation의 정확한 뉘앙스는?
👉 단순한 오역이 아니라, 언어나 문화의 미묘한 감정이 전달되지 않는 ‘의미의 소멸’을 말합니다.
get lost, go away, get lost in, get lost in translation, 영어 감정 표현, 꺼져 영어, 비유 표현, 거리감 영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