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를 하면서
수많은 책을 읽으면 자주 나오는 용어가 있는데요.
바로
‘절상(切上)’
과
‘절하(切下)’
입니다.
그럼 이 둘의 뜻이 무엇인지 각각 알아볼까요?
LET’S GO!!!🤟
✅
절상(切上)
뜻은?
우리 원화의 값어치가 달러보다 올랐다(上)
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환율 1달러=2,000원’⇒
‘환율 1달러=1,000원’
이 되었을 때,
우리는 ‘평가절상’이 되었다고 하죠.
그 이유는
옛날에는 1달러를 구하기 위해선
우리나라 돈이 2,000원 필요했다면
이제는 1000원만 있어도 1달러를 구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
절하(切下)
뜻은?
우리나라의 화폐 가치가 내려갔다(下)
는 이야기입니다.
절상과는 반대로
환율이 올라가버리는 바람에
(‘환율 1달러=1,000원’>>
‘환율 1달러=2,000원’
)
1달러를 구하기 위해선 우리 원화가 2,000원 필요해진 거죠.
이것을 우리는 ‘평가절하’라고 해요.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면
원화 평가절상=원화가치 상승=환율 하락=달러가치 하락
,
원화 평가절하=원화가치 하락=환율 상승=달러가치 상승
이 되겠습니다.
그럼 또 다른 경제용어로 찾아뵐게요 후후
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
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
◡‿◡
구독 ◡‿◡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
(별도의 로그인없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