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11월 6, 2025
Home미분류한국, 4월 노동시장 동향 (고용행정 통계 기준)

한국, 4월 노동시장 동향 (고용행정 통계 기준)


한국, 4월 노동시장 동향 (고용행정 통계 기준)
한국, 4월 노동시장 동향 (고용행정 통계 기준) / 출처: 고용노동부



1. ’23년 4월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및 개요




1) 고용보험 상시가업자


2023년 4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10만 8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5만 5천 명(2.4%) 증가하였습니다.



①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수


14,855천 명(’22년 12월) → 14,718천 명(’23년 1월) → 14,914천 명(2월) → 15,009천 명(3월) → 15,108천 명(4월)



②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수 증감


343천 명(’22년 12월) → 317천 명(’23년 1월) → 357천 명(2월) → 371천 명(3월) → 355천 명(4월)

반응형






2) 산업별 구분


산업별로는 제조업(104천 명), 보건복지(98천 명), 숙박음식(51천 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40천 명), 정보통신(38천 명) 등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제조업은 생산 및 수출 감소 등 어려운 고용 여건 속에서 증가하고 있으나, 고용허가제 외국인 가입 영향을 배제하면 둔화되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보건, 돌봄 및 사회복지 수요 증가에 힘입은 보건복지와 대면활동 정상화의 영향을 받은 숙박음식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중입니다.



① 제조업 가입자수


3,728천 명(’22년 12월) → 3,729천 명(’23년 1월) → 3,764천 명(2월) → 3,786천 명(3월) → 3,795천 명(4월)



②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


72천 명(’22년 12월) → 64천 명(’23년 1월) → 84천 명(2월) → 102천 명(3월) → 104천 명(4월)



③ 서비스업 가입자수


10,210천 명(’22년 12월) → 10,078천 명 (‘23년 1월) → 10,233천 명(2월) → 10,301천 명(3월) → 10,391천 명(4월)



④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


246천 명(’22년 12월) → 233천 명(‘23년 1월) → 253천 명(2월) → 249천 명(3월) → 233천 명(4월)


보건복지, 숙박음식, 제조업 등 업종에서 증가폭이 확대되었으나, 정보통신, 사업서비스, 전문과학기술 등 업종에서 증가폭이 둔화되고 코로나 상황 안정화에 따른 방역 일자리 축소 등 영향으로 공공행정, 교육서비스가 부진하면서 전체 가입자 증가폭은 둔화되었다.


구직급여 신청자 및 지급액
구직급여 신청자 및 지급액



3) 구직급여 신청자 및 지급액


4월 중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9만 6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천 명(3.1%) 증가하였으며, 건설업(3천 명), 정보통신(0.8천 명), 숙박음식(0.5천 명)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습니다.

728×90




①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수


99천 명(’22년 12월) → 188천 명(‘23년 1월) → 108천 명(2월) → 144천 명(3월) → 96천 명(4월)



②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수 증감


-3천 명(’22년 12월) → 2천 명(‘23년 1월) → 13천 명(2월) → 11천 명(3월) → 3천 명(4월)


구직급여 지급자는 65만 8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천 명(0.9%) 증가하였고, 지급액은 9,617억 원으로 106억 원(1.1%) 감소하였으며, 지급 건수당 지급액은 약 140만 원으로 1.4% 증가하였습니다.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2.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1) 목적

: 고용보험, 워크넷 등 전산망 운영을 통해 축적된 행정 데이터의 분석과 신속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고용정책 수립, 평가 및 노동시장 동향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서 작성이 되었습니다.



2) 법적근거

: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 규정에 의한 국가승인통계


① 고용보험통계: 승인번호 제327002호


② 구직급여신청동향: 승인번호 제118044호


③ 워크넷 구인·구직 및 취업동향: 승인번호 제327003호



3) 수록내용

: 고용보험 가입자수, 고용보험 자격 취득 및 상실자수, 구직급여 신청자수 및 지급액, 구인 및 구직등록자수 등



4) 포괄범위


① 고용보험 가입자수: 고용보험 가입자로서 계약형태가 ‘상용’, ‘임시직’인 근로자 단, 소정근로시간이 월 60시간(주 15시간) 미만인 자(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자는 포함), 국가 및 지방 공무원법에 따른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법 적용을 받는 자 등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② 구직급여: 고용보험 피보험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격을 상실한 자로서 구직급여 수급신청을 한 자 중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자에게 지급된다고 하며, 고용보험법 제2조 제6호에 따른 일용근로자도 통계에 적용됩니다.


③ 구인구직자: 공공고용서비스망인 워크넷(Work-Net)에 등록한 구인자수 및 구직자수를 의미합니다.



5) 이용 시 유의사항


① 최신 월의 통계는 잠정치 통계이며, 익월 발표 시 확정치로 대체되었습니다.


② 동 자료는 고용보험, 워크넷 등 공공고용서비스 영역에 대한 전수행정자료이며, 포괄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용 시 유의가 필요합니다.


③ 건설업, 서비스업은 일용근로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체동향 설명에 한계가 있습니다.


④ 산업분류는 제10차 한국 표준 산업분류(2017년)를 따랐습니다.


구직급여 현황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구직급여 현황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3. 구직급여 현황 개요 및 이용 시 유의사항




1) 목적:

실직한 근로자의 구직급여 신규 신청 동향을 정기적으로 발표하여, 노동시장 정책 마련 및 고용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합니다.



2) 대상: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월말기준) 및 지급자수(소정급여기간 동안의 지급자 전체)


구분

1년미만

1년이상



3년미만

3년이상



5년미만

5년이상



10년미만

10년이상

50세 미만

120익

150일

180일

210일

240일

50세이상 및 장애인

12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3) 이용 시 유의사항


①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란 수급자격 판단 이전의 순수 신청자로 수급자격 미충족 대상자도 포함합니다.


(구직급여 신청자 = 구직급여 수급자격 충족자 + 미충족자)


② 구직급여 신규신청자 규모는 경제활동인구나 전체 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으므로, 전체 고용상황과 연계하여 일반화하는 것은 곤란하며, 고용시장 현황 파악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③ 구직급여 통계에는 자영업, 예술인, 노무제공자(특고, 플랫폼종사자)는 제외되고, 고용보험 가입자 통계에서 제외된 일용근로자는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④ 구직급여 신청 관련 산업분류는 제10차 한국 표준 산업분류(2017년)를 따랐습니다.


⑤ 모든 통계자료는 세목과 총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계가 총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RELATED ARTICLES
- Advertisment -

Most Popular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