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C
Seoul
월요일, 3월 17, 2025

spot_img

두산중공업 ‘공중분해 위기’…중소업체는 “생존 자체가 위협받아”



“한울 3·4호기 공사 재개돼야”



원자력 노동조합 연대 기자회견






4년여 전 문재인 정부의 탈(脫) 원전 선언 여파로 국내 원전 업계가 고사(枯死) 직전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가 신한울 3·4호기 공사 인가 시한을 2년 연장하는 등 ‘희망 고문’식 정책을 유지하면서, 사업구조 전환도 늦어져 이제는 중견.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생존 자체를 위협받고 있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원자력 노동조합 연대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협의된 해외 원전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신한울 3·4호기 공사가 먼저 재개돼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표 기업인 두산중공업은 정부의 탈원전 선언 여파로 수익성 악화를 겪다 공중분해 위기까지 갔다. 그 결과 두산중공업은 정부의 유동성 지원을 받고 원전 관련 대규모 인력감축 등 혹독한 구조조정 등을 거쳐야 했다. 이 과정에서 두산중공업의 원전 관련 사업 비중은 미미한 수준으로까지 떨어졌다.





중소업체가 겪은 피해는 더욱 심각했다. 원전 관련 부품과 장비 등의 제조를 담당하던 중소 원전 협력업체 중에는 아예 문을 닫은 곳이 속출했다. 경남 창원의 한 원전부품 임가공 업체 관계자는 “2년 전까지는 원전 납품 물량이 조금 남아 있었지만, 그 후로 원전 관련 매출은 전혀 없다”면서 “그나마 우리 회사는 방산품이나 다른 금형 부품들 가공으로 업종을 전환해 가까스로 살아남았지만, 원전 관련 비중이 높았던 업체들은 문을 닫은 경우도 많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다시 원전에 관심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믿지 못한다”면서 “원전을 새로한다고 해도 실제 부품 수요가 일어나기까지는 3~5년이라는 시간이 더 필요한데, 그 기간을 보고 준비하다 정부 정책이 또 바뀌면 우리 같은 업체들은 죽을 수밖에 없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원자력노동조합연대는 전날 오후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했다. 원자력 노동조합 연대는 “한·미 해외 원전시장 공동 진출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술력을 복원하는 것이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