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신혼,무주택자에 시세 70%이하 공공아파트 공급
역세권 등에 시세 70%로 50만 채 공급
최장 10년 임대 ‘내집마련 리츠 주택’ 연내 도입
尹정부 첫 주택공급대책
정부가 청년과 신혼부부, 무주택자에게 시세의 70% 수준으로 5년간 전국에 50만 채를 공급한다.
분양가의 반값에 입주해 최장 10년을 임대로 살고 추후 분양 여부를 결정하는 새로운 민간분양 모델
‘내집 마련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주택’
도 연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16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8·16공급대책을 발표하며 “내 집 마련을 위한 주거 상향 계단을 촘촘히 만들어 끊긴 주거 사다리를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임대’와 완성하는 ‘분양’의 중간 단계를 만들어 내 집 마련의 진입장벽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 역세권 등에 시세 70%로 50만 채 공급
▶’시세의 70%’로 공급하는 공공 아파트 개요
특징 | 시세 70% 이하 공공분양 |
대상 | 청년, 신혼부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등 |
입지 | 3기 신도시, 역세권, 도심 국.공유지 둥 |
공급규모 | 2027년까지 50만 채 |
공급방식 | 5년 거주 뒤 공공에 매매 가능(시세 차익의 70%는 입주민이 가져감) |
금융지원 | 40년 이상 저금리 장기 대출 제공 |
기타 | 9월 중 구체안 발표 |
※ 윤석열 대통령 공약 사항이었던 청년원가주택과 역세권 첫 집을 합한 개념으로 아파트 브랜드는 추후 확정.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청년원가주택’과 ‘역세권 첫 집’
유형을 하나로 통합할 방침이라고 이날 밝혔다. 시세의 70% 이하로 분양을 받은 뒤 5년간 의무거주 기간이 끝나면 주택을 공공에 팔 수 있다.
이때 시세 차익의 70%는 입주민이, 나머지는 공급이 가져가는 방식이다.
기존 청년원가주택과 유사한 공급 방식이다.
총 50만 채 내외로 계획된 공급 물량은 주로 역세권과 산업시설 배후지 등에서 집중적으로 공급한다.
특히 3기 신도시와 도심 국공유지 등 공공주택지구 주택공급 물량의 30% 이상과 역세권 정비사업의 기부채납 물량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기존 ‘역세권 첫 집’ 방식을 따랐다
. 서울시의 토지임대부 주택(고덕강일지구 약 850채 등)이나 도시재생 혁신지구(용산역 330채 등) 물량도 적극 확보한다.
공급대상은 청년(19~39세)과 신혼부부(결혼 7년 이내),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등이다.
소득 요건은 신혼부부의 경우 월평균 근로자 소득의 140~160% 이하로 검토한다.
추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40년 이상의 장기대출을 저금리로 실행하는 금융 지원도 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는 ‘구체적인 내용은 9월 중 별도 발표한다”고 밝혔다.
◆ ‘내집 마련 리츠 주택’ 연내 도입
▶내 집 마련 리츠주택
특징 | 최장 10년 임대 거주 뒤 분양 여부 주택 |
대상 | 무주택 서민 |
입지 | 민간임대 용지 택지(6만 채)중 우수 입지 |
공급주체 | 주택도시기금 등이 출자한 민간 리츠 |
공급방식 | 분양가 50%는 입주 때 우선 납부 나머지 50%는 분양 전환 시 납부(감정가 기준) |
시행 시기 | 올해 12월 중 시범사업 |
임대와 분양 방식이 혼합된 새로운 민간분양 모델인
‘내 집 마련 리츠 주택’
도 도입된다. 주택도시기금 등이 출자한 리츠가 주택을 공급하고, 입주민은 최장 10년 동안 임대로 거주한 후 분양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형태다.
이때 입주민은 입주 시 분양가의 절반을 보증금으로 내고, 나머지는 분양 전환할 때 감정가로 납부한다. 분양가 5억원인 주택에 입주할 경우 2억5000만 원을 보증금으로 납부하고, 분양 전환할 때 감정가격이 10억 원으로 올랐어도 절반인 5억 원만 추가로 내는 식이다.
분양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입주 때 냈던 보증금은 돌려받는다. 국토부는 이때 임대로 거주한 기간을 청약가입기간으로 인정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 10년 공공임대 방식이나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은 분양 전환할 때 해당 시점의 분양가 100%를 내야 해 부담이 컸는데, ‘내 집 마련 리츠 주택’은 이 부담을 절반 이하로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시장 반응에 따라 공급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공급 대상은 무주택 서민을 원칙으로 하되, 소득기준은 청년원가주택보다 높게 설정할 예정이다.
공공임대주택의 품질 향상 방안도 포함됐다. 3기 신도시 등 신규 공공임대주택의 면적 기준을 49.5㎡(15평)에서 56.1㎡(17평)로 확대한다. 기존 공공임대주택 중 노후한 곳은 연내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고, 30년 이상 경과한 노후 영구임대주택은 생활 사회간접자본(soc)과 상업시설이 복합된 단지로 재정비할 방침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청년원가주택이나 ‘내 집 마련 리츠 주택’이 청년들과 무주택 서민들에게 ‘징검다리’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