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 답사
]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
·
인목왕후의 능
, ‘
목릉
’
안녕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
며칠 전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을 답사하였는데
,
오늘은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
·
인목왕후의 능인 목릉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 답사]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의 능, ‘목릉’ 1 img](https://blog.kakaocdn.net/dn/bsaysU/btrMeFbmjim/Kum2xryfKDZzTzWUePx4h0/img.png)
1.
구리 동구릉은
?
구리 동구릉은 동쪽에 있는
9
기의 능이라는 뜻
으로
,
조선 왕실 최대규모의 왕릉군
이다
.
즉 동구릉에는
9
개의 능이 있어 조선 왕조
42
개 능의
20
퍼센트가 포함될 정도로 비중이 남다르다
.
동구릉은
구리시 인창동 검암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9
개의 능에
17
위
(
位
)
에 달하는 조선의 왕과 왕비 유택이 있는 가족묘다
.
즉
9
릉
17
위
(
位
)
의 왕과 왕비가 안장되어 있으며
,
총 면적이
191
만
5,890
제곱미터나 된다
.
동구릉은 사적 제
193
호로 지정되어 있다
.
1408
년 태조의 왕릉이 자리하고 건원릉이라 이름한 뒤
, 1855
년
(
철종
6)
익종
(
翼宗
)
의 능인 수릉이
9
번째로 조성되어 동구릉이라 부르게 되었다
.
2.
목릉
穆陵
(
선조와 의인왕후
·
인목왕후의 능
)
가
.
목릉의 개요
. 위치
:
경기 구리시 동구릉로
197
. 능의 형식
:
동원이강릉
. 능의 조성
: 1600
년
(
선조
33), 1630
년
(
인조
8), 1632
년
(
인조
10)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 답사]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의 능, ‘목릉’ 2 img](https://blog.kakaocdn.net/dn/dpK2tW/btrMeF3vjS1/93tdXnh8YMuuwDGBDCfUWk/img.pn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 답사]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의 능, ‘목릉’ 3 img](https://blog.kakaocdn.net/dn/BSaGf/btrMdMbezpt/PHakozM37HeHnJA9hvi6L1/img.jp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 답사]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의 능, ‘목릉’ 4 img](https://blog.kakaocdn.net/dn/bsfHqX/btrMdNOLyln/aOkSh8z50nz64QzGHfYvz0/img.jp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구리 동구릉 답사]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의 능, ‘목릉’ 5 img](https://blog.kakaocdn.net/dn/cgMZyo/btrMfEbW3FM/R4Yg76ofeEb9Tj0urLdR0K/img.jpg)
나
.
목릉의 구성
목릉은 조선
14
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 박씨와 두 번째 왕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다
.
목릉은 같은 능역 안에 각각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
(
同原異岡陵
)
의 형식이다
.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이 선조
,
가운데 언덕이 의인왕후
,
오른쪽 언덕이 인목왕후의 능이다
.
선조의 능은 기본적인 왕릉상설에 맞게 조성되어 병풍석과 난간석
,
혼유석
,
망주석
,
석양 및 석호가 배치되어 있다
.
의인왕후의 능과 인목왕후의 능은 병풍석만 생략했을 뿐 상설은 선조의 능과 같다
.
정자각은 원래 의인왕후의 능 앞에 있었다
.
그러다가
1630
년
(
인조
8)
에 선조의 능이 천장되면서 기존의 목릉 정자각을 이건
(
移建
)
하게 되자 의인왕후 능 앞에 있던 정자각은 헐었다
.
이 후 인목왕후의 능이 조성되면서 치우친 정자각을 다시 옮기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
이건이 번거롭다하여 신로만 정자각에 접하도록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
따라서 현재 목릉의 정자각은 선조의 능을 향하여 있으면서 신로는 세 능으로 모두 뻗어 있다
.
목릉 정자각은 조선왕릉 정자각 중 유일하게 다포식 공포로 지어진 건물로 보물로 지정되었다
.
다
.
목릉의 역사
목릉은 처음 선조의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 박씨가 정유재란이 끝난 직후인
1600
년
(
선조
33)
에 세상을 떠나자
,
현재의 자리에 유릉
(
裕陵
)
이라는 능호로 조성되었다
.
이 후 선조가
1608
년에 세상을 떠나자
,
건원릉 서쪽 산줄기
(
현 헌종의 경릉
)
에 목릉이라는 능호로 조성하였다가
1630
년
(
인조
8)
에 물기가 차고 터가 좋지 않다는 심명세
(
沈命世
)
의 상소에 따라 현 위치로 옮기고 의인왕후의 유릉
(
裕陵
)
과 목릉의 능호를 합하여 목릉이라 하였다
.
1632
년
(
인조
10)
에 선조의 두 번째 왕비 인목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하였다
.
처음 혜릉
(
惠陵
)
이라는 능호를 정하였다가 목릉과 능역을 합치자는 의논으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
라
.
선조
(
宣祖
)
이야기
선조
(
재세
: 1552
년
~ 1608
년
,
재위
: 1567
년
~ 1608
년
)
는 중종의 아들인 덕흥대원군과 하동부대부인 정씨의 셋째 아들로
1552
년
(
명종
7)
에 인달방
(
현 서울 사직동
)
사저에서 태어났다
.
처음에 하성군에 봉해졌다가
, 1567
년
(
명종
22)
에 명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인순왕후의 명으로
(
명종의 양자 입적
)
경복궁 근정전에서 왕위에 올랐다
.
선조는 즉위 초에 매일 경연에 나가 토론하고
,
밤늦도록 독서에 열중하였다
.
훈구세력의 힘을 억제하고 이황
,
이이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선정에 힘썼다
.
그러나 명종 말년부터 일어난 붕당정치의 시작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과 세자책봉 문제로 옥사가 일어났으며
,
국력이 쇠약해져 국방대책을 세우지 못하던 중
1592
년
(
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
임진왜란에 이어서 정유재란이 일어나 두 차례에 걸친
7
년 동안 전쟁을 치르며 전 국토가 황폐화되었다
.
선조는 전후 복구작업에 힘을 기울였으나 거듭된 흉년과 정치의 불안정으로 인해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
그 후
1608
년
(
선조
41)
에 경운궁 석어당에서
57
세로 세상을 떠났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