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 C
Seoul
일요일, 7월 13, 2025

spot_img

(국내 여행지 추천) 내가 뽑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베스트5


(


국내 여행지 추천


)


내가 뽑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베스트


5


안녕하세요


,


오늘은 국내 여행지 추천으로 내가 뽑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베스트


5


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1988


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국내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다기능 공원이다


.


해안가는 외변산


,


내륙 산악지역은 내변산이라 구분하고 있습니다


.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변산 안에 의상봉


(508m),


신선봉


(486m),


쌍선봉


(459m)


등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산봉우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


해수욕과 등산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사시사철 수 많은 탐방객이 찾는 곳입니다


.


img


1.


채석강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변산해변로


1)





7,000


천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부터 바닷물의 침식을 받으면서 쌓인 퇴적암은 격포리층으로 역암 위에 역암과 사암


,


사암과 이암의 교대층


,


셰일


,


화산회로 이루어져 있다


.


이런 퇴적 환경은 과거 이곳이 깊은 호수였고


,


호수 밑바닥에 화산분출물이 퇴적되었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


img


또 이 절벽에서 단층과 습곡


,


관입구조


,


파식대 등도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지형과 지질학습에 좋다


.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만들어진 해식애


,


평평한 파식대


,


해식동굴도 발달했다


.


채석강 바닥에는 지각과 파도의 합작품인 돌개구멍이 발달했는데


,


밀물 때 들어온 바닷물이 고여서 생긴 조수웅덩이도 곳곳에 있다


.


2.


적벽강


(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


img


적벽강 인근에는 식물분포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후박나무군락을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고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채석강과 격포해수욕장이 근처에 있어 지질


,


생태


,


교육 관광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


이 지역은 퇴적암인 셰일과 화산암인 유문암의 직접적인 경계 부분으로 성질이 다른 두 종류의 암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독특한 암석


(


페퍼라이트


)


을 관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


페퍼라이트는 검은 갯벌 속에 붉은 자갈들이 끼어 있는 것 같아 언 듯 보기에 역암으로 혼동하기 쉽다


.


그러나 페퍼라이트는 뜨거운 마그마나 용암이 차가운 미고결 퇴적물과 직접 접촉할 때 형성되는 독특한 암석이다


.





,


물기가 많고 아직 고화되지 않은 퇴적물에 화산활동으로 인해 뜨거운 용암이나 마그마가 덮이거나 관입하면 퇴적물 속의 수분이 고열로 인해 급격히 끓어오르면서 수증기의 폭발이 일어나 퇴적물과 용암이 뒤섞이면서 만들어진 암석이다


.


또한 유문암질 용암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주상절리와 함께 해안가에서 파도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구멍


(


돌개구멍


)


과 해식 절벽을 관찰할 수 있다


.


3.


변산해수욕장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변산로


2076)


img


서해안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이다


.


하얀 모래와 푸른 솔숲이 어우러졌다 하여





백사청송





해수욕장으로도 불린다


.


또한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해수욕장의 하나로


1933


년에 개장되었다


.


곱디고운 모래해변이 끝없이 펼쳐져 있으며 서해안의 해수욕장치고는 물빛도 맑은 편이다


.


더욱이 평균수심이


1m


밖에 되지 않고 수온이 따뜻해서 해수욕장 조건이 아주 좋다


.


변산 해수욕장은 모래사장의 경사가 완만하고 모래사장의 길이가 길고


,


백사장의 모래가 부드러워 아이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가족 동반의 해수욕을 즐기기에 천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


폭염에 지치면 솔숲 그늘에 앉아 바다의 정취를 즐기며 야영을 즐기기에도 좋다


.


4.


내소사


(


전북 부안군 내소사로


191)


img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





(633)


에 혜구두타


(


惠丘頭陀


)


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이다


.


대웅보전은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조선 인조


11





(1633)


청민 대사가 절을 고칠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


규모는 정면


3





,


측면


3


칸이며


,


지붕은 여덟 팔


(





)


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들의 포개진 모습은 조선 중기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


또한 대웅보전의 꽃문살에서 당시의 뛰어난 조각 솜씨를 엿볼 수 있으며


,


불상 뒤쪽 후벽에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것 중 가장 큰





백의관음보살 좌상





이 그려져 있다


.




대웅보전 현판은 원교 이광사


((


圓嶠 李匡師


1705~1777)


가 쓴 글씨이며


,


부속 암자로는 입구의 지장암과 청련암이 있다


.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로 지정된 대웅보전


(


大雄寶殿


)


을 비롯하여 보물 고려동종


(


高麗銅鐘


),


보물 법화경절본사경


(


法華經折本寫經


),


보물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요사채


,


설선당


(


說禪堂


),


삼층석탑이 있으며 내소사 일원은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일주문에서 시작되는


600m


의 전나무 숲길은





아름다운 길


100








에 선정되었으며 사계절 색다른 모습으로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


5.


새만금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새만금로


6)


img





새만금


(





萬金


)’


이란 명칭은 김제


·


만경


(


金堤


·


萬頃


)


방조제를 더 크게


,


더 새롭게 확장한다는 뜻에서 예부터


金堤


·


萬頃


평야를





金萬


평야





로 일컬어 왔던





금만





이라는 말을





만금





으로 바꾸고 새롭다는 뜻의











를 덧붙여 만든 신조어이다


.


오래 전부터 옥토로 유명한 만경


·


김제평야와 같은 옥토를 새로이 일구어 내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1987





11





2


일 당시 정인용 부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에서 황인성 농림수산부 장관이 처음으로 서해안 간척사업을





새만금간척사업





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사용되었다


.


새만금 방조제에 대하여 새만금간척사업의


1


단계 사업으로 건설된 방조제로


, 1991





11





16


일 착공한 후


19


년의 공사기간을 거쳐


2010





4





27


일 준공하였다


.


간척지 조성으로 인하여 한국 국토 면적은


10





140





에서


10





541








0.4%


늘었다


.


행정구역상 간척지 면적은 군산시


71.1%,


부안군


15.7%,


김제시


13.2%


를 차지한다


.


**


출처


:


한국관광공사


TourAPI,


전라북도 지질공원


내가 뽑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BEST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