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C
Seoul
토요일, 6월 21, 2025

spot_img

4월 CPI, 3개월 만에 쇼크에서 탈출 (feat. 기대치에 부합한 결과)


4월 CPI, 3개월 만에 쇼크에서 탈출 (feat. 기대치에 부합한 결과)
4월 CPI, 3개월 만에 쇼크에서 탈출 (feat. 기대치에 부합한 결과)



1. 기대치와 부합한 CPI와 금리 결정 전망



미국의 4월 CPI는 모처럼 기대치에 부합하게 나왔습니다. YoY 기준으로 헤드라인(3.4%, 컨센 3.4%, 3월 3.5%), 코어(3.6%, 컨센 3.6%, 3월 3.8%) 모두 예상했던 수치와 동일했고, 전월에 비해서도 둔화됐습니다. 에너지(3월 2.1% → 4월 2.6%), 메디케어 서비스(2.1% → 2.7%) 등은 전월보다 오름 폭을 확대했지만, 한동안 잘 안 빠지고 있던 주거비(5.7% → 5.4%) 등 에너지 서비스 제외 서비스 물가(5.4% → 5.3%)가 내림세를 보였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어제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최근에 예상보다 높게 올라와서 자신감은 떨어졌으나, 그래도 다시 둔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다음번 금리 결정은 인상이 아닐 것이다”라고 전망을 한 것에 힘을 실어주는 수치 같습니다.



2. 미국 증시, 약보합세에서 상승 전환



지난 1~3월 연달아 CPI 쇼크를 맞으면서 고생을 했었으나, 이번에는 컨센에 부합한 것 자체를 반기면서 약보합세를 보였던 나스닥 선물은 +0.5%대로 상승 전환했습니다. 10년물 금리는 4.3%대, 달러도 104pt대로 내려오고, 비트코인도 3%대 상승하는 등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우위를 다시 점하는 모양새입니다.


같은 시간대에 발표된 4월 소매판매가 0.0%(MoM)로 전월(0.6%) 및 컨센(0.4%)를 하회하는 쇼크를 기록했다는 점은 주가를 아래로 뺄 수 있는 요인이기는 한데, CPI가 둔화된 영향으로 최근 다시 생성 중인 스태그 플레이션 노이즈로 확산은 되지 않다 보니 증시가 이리 반응을 하는 듯합니다. 사실 최근 일련의 경제 지표 둔화는 “노랜딩”의 기대감보다는 “소프트 랜딩”의 현실로 다시 복귀하는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절하지 않나 싶습니다.

반응형






3. 5월 고용과 CPI 이벤트 그리고 엔비디아 실적



5월 FOMC, 4월 고용, 4월 CPI 등 5월 이후 초대형 이벤트들은 준수하게 잘 넘긴 듯합니다. 하지만 선물 시장이 오르긴 오르는데 생각보다 시원하게 오르지 못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는데, 상반기 매크로 상 마지막 본게임인 6월 FOMC 전에 5월 고용과 5월 CPI 이벤트를 한번 더 치러야 한다는 점, 다음 주 22일 엔비디아 실적이라는 증시 내 대형 이벤트가 대기하고 있다는 점, 이 두 가지가 증시의 기어 상향 변속을 제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미국 경기 노랜딩 vs 소프트랜딩 vs 하드랜딩(+스태그 플레이션)을 둘러싼 교통정리도 필요하는 등 이래저래 “예측 후 미세조정”을 여러 번 해야 하는 상황이긴 합니다.


그래도 중간중간 코멘트나 하반기 전망에서도 이야기를 하겠지만, 요점만 간단히 먼저 드리자면 2분기(4~6월) 인플레이션, 경제 지표, 연준의 정책 경로(2회 인하 예상), 기업 실적 모멘텀 지속 등은 주식시장 입장에서 여전히 해볼 만한 환경을 조성시켜 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elated Articles

Stay Connected

18,393FansLike
128,393FollowersFollow
81,934SubscribersSubscribe

Latest Articles